- Today
- Total
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2 | 3 | ||||
4 | 5 | 6 | 7 | 8 | 9 | 10 |
11 | 12 | 13 | 14 | 15 | 16 | 17 |
18 | 19 | 20 | 21 | 22 | 23 | 24 |
25 | 26 | 27 | 28 | 29 | 30 | 31 |
- 가변영역 스크롤
- ffmpeg
- 말줌임 CSS
- 피쉬랜드
- springboot 재가동
- view 획득
- c언어
- SQL
- 시간대별 통계
- pid 찾아 kill
- springboot
- Activity 전체화면
- reactnative
- vc++
- rn
- 터치좌표 view
- 파티션 빠른 삭제
- mybatis exception
- group by
- CentOS
- 코드로 서버 재실행
- 스크롤적용
- 시간대 테이블생성
- CSS
- Back 키 클릭 감지
- MariaDB
- MySQL
- kill -9
- sql exception
- MFC
개발은 하는건가..

springboot 로 tomcat 내장 형태의 jar 생성 후 윈도우용 application exe 형태의 파일로 만들어서 배포할 경우 유용한 방법입니다. 아래 주소에 접속하여 윈도우용 최신 Launch4J 를 다운로드 받아 설치 합니다. https://launch4j.sourceforge.net/ 실행 후 [Output file] 에는 exe 가 생성될 경로와 파일명을 지정하고 jar 에는 원본 jar 파일을 지정합니다. 필요에 따라 [icon], [change dir], [command line args] 를 설정합니다. 필요없을 경우 안해도 됩니다. header 탭에서 jar application 타입을 설정 합니다. springboot jar 이므로 [console] 를 선택합니다. JRE 탭에..
tail 명령으로 로그 파일의 갱신 내용을 실시간으로 확인 > tail -n 20 -f 로그파일.log -n [라인수] : 마지막 라인수에 해당하는 로그를 보여준다. (라인수 옵션을 주지 않을 경우 기본 10줄만 보여짐) -f : 파일 내용이 변경되면 지정된 라인수 만큼 계속 보여준다. (명령 재실행 하지 않아도 계속..) - c [바이트수] : -n 옵션을 안쓰고 이 옵션을 사용할 경우 지정한 바이트 수 만큼만 내용이 보여진다. 파이프를 이용해 grep 과 같이 사용할 수 있는다 다음과 같은 경우 ERROR 문자열이 포함된 라인만 출력 된다. > tail -n 20 -f 로그파일.log | grep ERROR
1. sh 확장자를 가진 파일을 생성한다. > vi run.sh 2. 생성된 파일에 실행 권한을 부여한다. > chmod +x run.sh 3. 파일 내용을 작성한다. 파일 작성 예) #!/bin/sh echo $1 "run to background.." nohup java -jar "$1" >> "$1.log" 2>&1 & read -t 5 -p "wait 5 second..." cat "$1.log" 4. 생성된 파일을 실행한다. > ./run.sh app.jar